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육/연구방법

유인기법

by 당근밭농부 2022. 6. 29.
728x90

*유인기법: 한 마디로 유도한다는 뜻. 연구자가 원하는 언어 분석을 위한 표본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

-필요성: 예를 들어 '-어서', -니까'의 연결어미를 얼마나 많이 쓰고 있는지 연구하고 싶어서 하루종일 피험자의 발화를 녹취한다면?.. 자료를 얻기 쉽지 않다. 하루종일 대화 속에서 연결어미가 안나올 수도 있다.  '-어서', '-니까' 연결어미는 원인이나 이유를 설명하는 상황이 되어야만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의 효율성을 위해 일부러 수집하고자 하는 자료가 나올만한 상황이나 맥락을 만들어주는 것이 유인기법이다.   

 

-종류: 질문조사(설문지, 면담), 자극이용(그림, 도표), 표준화검사도구가 있다. 

 

*산출과제: 유인기법을 활용하여 피험자로부터 목표언어를 산출해낸다

-이중언어구문측정: 그림을 보여주고 관찰하고자 하는 목표 언어 항목을 유도하기 위해 고안된 질문을 하는 것 

예) 대명사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농장일 하는 두 남녀가 그려진 그림을 보면서 묻는다.

검사자의 질문 피험자의 반응
Look at him. He's working. Yeah, working in the..er..park.
And her? And same change flower or put fresh one
Yeah. And them? And them working together.

→피험자는 she, they와 같은 대명사를 제대로 쓰지 못하고 있다. "대명사 잘 모르는구나. 0점 처리하자"

 

-문제점

1)관찰할 것을 미리 결정해버려서 다른 중요한 현상을 놓친다. 

(피험자는 대명사를 쓰진 못해서 0점을 받았지만 대화 이해도는 상당히 높다.)

2)얻은 결과가 채택된 유인도구에 의해 만들어진 인위적인 산물이다. 

3)피험자의 응답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가 계속 안나타날 때 다른 해석도 가능하다.

→해당 구조가 학습자의 모어에는 없는 구조라 말을 못한 것일 수도 있다.

→학습자가 구조에 대한 지식은 있는데, 사용할 때 확신이 없어서 회피전략을 썼거나 그냥 우연히 사용하지 않을 것일 수 있다.

 

-보완책

1)둘 이상의 자료에서 정보를 얻는다.

2)모방과제도 함께 쓴다.

(모방과제: 목표항목이 포함된 문장을 읽어주고 피험자가 모방하도록 하는 과제이다. 모방과제가 산출과제보다 피험자의 발달에 대해 더 풍부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고모'가 들어간 문장을 따라 읽어보라고 하는데 피험자가 '이모'라고 말한다면 왜 이렇게 따라했는지 분석하는 과정에서 많은 해석거리를 제공한다.)

 

*질문조사: 설문지, 면접 등을 의미한다. 특정 시기, 일정한 관점에서 사건을 스냅사진 찍듯이 순간을 포착한다. 

-조사연구vs 실험연구

조사연구 피험자에게 질문, 관찰하는 것을 제외하고 연구의 대상이나 목적에 어떤 조치도 하지 않는다.
실험연구 변인 사이의 상호작용을 알기 위해 환경에 인위적 조정을 가한다.

-조사를 위한 표본 추출 전략

확률표집
(추출될 확률이 전부 1/n)
무작위 완전히 무작위로 선택
체계적으로 체계적으로, 일정한 규칙으로 선택 (예: 20번째, 40번째, 60번째를 선택)
분류하여 하위집단으로 나누고 집단 안에서 무작위 선택(예: 남/녀 집단 나누고 그 안에서 랜덤선택)
집단으로 모집단 중 한 하위집단 안에서 선택 (예: 주 전체가 아니라 한 학군의 학교 중 랜덤선택)
비확률표집 편의에 따라 부탁할 수 있는 곳에 부탁해서 필요수 채워질 때까지 선택
의도적으로 가장 전형적이라고 생각하는 피험자 선택

-설문지

1)수량화하기 쉬움

2)폐쇄형질문(반응 범위를 연구자가 결정) vs 개방형질문(어떻게 말할지 응답자가 결정)

3)개방형 질문을 수량화하는 방법: 응답 속 핵심어들을 분석해서 범주화하고, 범주별 응답수를 파악한다.

4)질문 속 단어선택 주의, 질문에 연구자의 태도가 드러나서는 안된다.

5)설문지 개발 시에는 예비조사를 통해 질문의 적절성을 검토해야 한다.

 

-면담

1)비구조적인 면접: 오로지 면접 대상자의 응답에 의해 진행된다.  

2)반구조적인 면접: 조사자가 질문을 미리 준비하지는 않지만, 어떤 방향으로 면접을 이끌어갈 건지 어느정도 생각이 있다.

3)구조적인 면접: 면접할 내용, 질문이 모두 조사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면담에 나타날 수 있는 편중성

-참여자 간 비대등적인 관계: 아무래도 면담자가 면접대상자보다 더 많은 권한이 있다. 균형이 더 무너지지 않도록 면접 시에는 면접 대상자가 자신의 모어로 대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리 선정도 서로 옆자리에 앉으면 더 좋다(Walker, 1985)

 

*유인장치를 사용한 연구는 관찰할 것을 미리 설계해버린다는 점에서 타당성을 위협받는다고 늘 지적받아왔지만, 관련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유일한 실용적인 수단으로 언어연구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어온 방법이다. 

 

참고: 외국어 학습 연구 방법론(David Nunan)

728x90

'한국어교육 > 연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성적연구  (0) 2022.06.29
교실관찰연구  (0) 2022.06.28
사례연구  (0) 2022.06.28
민족지학  (0) 2022.06.27
연구방법 개요 및 실험연구  (0) 2022.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