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개인기록/경제10

주식 배당금 사이트 배당금 정보 검색할 수 있는 사이트: https://www.dividendmax.com/ DividendMax - notifications, declarations, forecasts and tools for UK private investorsTools to find income in a low-interest rate age Free Notifications Our email alert service informs you when companies declare their dividends and the payment you’ll receive. Premium Optimizer Find the highest forecast dividend yields in the UK, EU and USwww.div.. 2024. 4. 17.
주식 공모주 청약하기(균등,비례) #공모주란? -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기 전에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미리 주주를 모집하는 것을 공모라고 한다. - 그리고 공모를 위해 발행하는 주식을 공모주라고 한다. - 공모주는 IPO(Initial Public Offering: 초기 공개 주식)라고도 한다. - 투자자들이 공모주를 사겠다고 신청하는 것을 공모주청약이라고 한다. - 보통 공모가(공모주 발행가)는 실제 주식 상장 후 형성되는 가격보다 낮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아, 공모주청약 수요가 크다. (주택 청약하는 것과 같은 이치) #공모주 일정 1. 투자자들의 공모주 청약 -공모주를 매수하고 싶은 투자자들은 증거금을 입금한다. -1주의 공모가가 1만원인 공모주를 10주 신청했다면 총 10만원의 증거금을 증권사에 예치한다. 2. 공모주 배정 -.. 2023. 12. 10.
신도림 임장 후기 이번에 임장할 곳은 신도림역 부근이다. 신도림은 서울시 구로구에 속해 있다. 1. 교통 -신도림역은 1호선, 2호선이 교차하는 지점이다. -주요 업무지구까지 접근성은 매우 우수하다. 여의도까지는 15분(1회 환승), 강남역까지는 28분, 시청역까지는 20분이 소요된다. 2. 학군 -신도림 부근에는 초등학교 2곳(신도림초, 신미림초)과 중학교 1곳(신도림중학교), 고등학교 1곳(신도림고등학교)이 있다. -신도림초 신미림초 두 곳 모두 학교 홈페이지 상으로 한 학년당 7~9개 학급으로 학생 수가 많은 편이다. -신도림 중학교의 경우 구로구에서 학업성취도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신도림에는 학원가가 따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목동 학원가까지 운행하는 셔틀이 있다. 맘카페를 보면 자녀가 고등학생이.. 2023. 12. 4.
주식 기초 용어, 재무제표 보는법 시가총액: 현재 주가 x 발행된 주식의 총 숫자 ROE: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쉬운 말로, 얼마 넣어서(자본금) 얼마 벌었는지(수익)를 말한다. 자본금이 1000만원이고, 수익이 100만원이 났다면 ROE는 10%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쉬운 말로, 주가가 그 기업의 수익의 몇 배인지를 의미한다. 그 기업의 수익이 100만원인데 주가가 1500만원이라면 PER는 15배인 것 *PER이 낮다면 그 기업의 수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으로,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보통 PER이 10보다 높으면 고평가, 10보다 낮으면 저평가로 분류된다고 한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 value Ratio) 쉬운 말.. 2023. 11. 18.
주택담보대출 용어 정리(LTV, DTI, DSR) 대출 방법은 2가지로 나뉜다. 첫째, 담보대출 (담보물을 가지고 대출. 새로 살 집이나 이미 소유한 집) 둘째, 신용대출 (개인의 신용도에 따라 대출. 잡힌 것이 없어 먹튀하기가 쉬우므로(?) 담보대출보다 이자가 높은 편임) 이 중 주택 담보대출 시, 얼마나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주택담보대출 시 필요한 용어는 크게 3가지이다. 1. LTV (Loan To Value ratio , 주택담보대출비율) 주택 담보 가치에 따른 대출금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집(담보물)의 가치에 따른 대출 가능 한도율이다. *LTV가 60%인 경우: 3억짜리 아파트를 구입하고자 한다면 1억 8천만원(3억x0.6)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투기지역 또는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 지역 등에 따라 LTV 차등이 .. 2023. 10. 25.
부동산 용어: 건폐율과 용적률 1. 건폐율: 건축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비율 *대지면적이 100제곱미터, 그 위에 세워진 건축물 면적이 80제곱미터라면 건폐율은 80% *해당 건축물의 1층 면적만 해당한다. *건축물이 2개라면 2개의 면적을 합친 것이 건축 면적이 된다. *해당 지역의 개발밀도를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 주거전용지역의 건폐율은 50% 미만이어야 한다. *건폐율을 보고 알 수 있는 것: 이 땅에 건물이 얼마나 많이 빽빽하게 지어졌나? 더 많이 지을 수 있겠구나/ 없겠구나 2. 용적률: 대지 면적에 대한 건물 연면적(건축물의 바닥면적 다 합친 면적)의 비율* 대지면적이 100제곱미터, 그 위에 50제곱미터 면적의 3층짜리 건물이 있다면 용적률은 150% * 용적률이 크면 건물을 높이 지었다는 뜻(층수가 많음) * 용적률.. 2023. 10. 23.
주식 공부 주식 시간이 지날 수록 화폐의 가치는 점차 하락한다. (예전의 500원과 지금의 500원의 가치는 다름) 따라서 돈을 현금으로만 가지고 있으면 무조건 손해 / 주식시장은 길게 보면 우상향(물가상승률보다도 높은 수치로) -->주식 투자는 필수적 주가지수: 주식시장에 있는 종목의 주가를 합쳐 나타내고 있는 지수 -코스피: 대기업, 중견기업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등) -코스닥: 벤처기업, 중소기업 - S&P 500: 미국에서 가장 큰 500개 기업의 주가를 추적하는 지수 - 나스닥: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의 주가를 추적하는 지수 (애플, 구글 등 기술주, IT기업 등 중심) 시가총액: 발행 주식수 x 현재가 참고: 책 「돈은 좋지만 재테크는 겁나는 너에게」, 뿅글이 / 네이버 지식 in 답변 일부 2023. 9. 11.
월세계약 방법 1. 집이 마음에 들었다면? -집주소를 파악하여 등기부등본 떼기 대법원 인터넷등기소->부동산등기열람 www.iros.go.kr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www.iros.go.kr -소유권 부분: 가압류, 가처분 신청이 되어있으면 안됨 -말소사항까지 요구하면 좋음(이력이 많았다면 또 발생할 확률 다분..) -소유권 외 부분: 근저당이 많이 걸려있진 않은지 (선순위로 들어온 세입자 보증금이 많으면 안됨 집 가액의 70%넘으면 안됨) -임차권등기명령이 걸려있진 않은지 확인 *임차권등기명령이란? 전 세입자가 만기되서 나간다고 했는데 보증금을 안줌-> 세입자가 다른 데로 전출신고를 하고 집을 비워주면 우선변제권을 상실함 ->우선변제권을 유지한채로 이사갈 수 있도록 마련한 제도 -내가 지금 연락하고 있는 집주인의 신상이.. 2023. 5. 29.
선납이연 선납이연이란? 선납: 먼저 낸다, 이연: 나중에 낸다 →적금 가입 시 몇달은 한꺼번에 내고, 몇달은 나중에 내면서 정직하게 한달에 한번씩 입금하는 원래의 방식보다 이자를 더 챙길 수 있는 방법 4달 늦게 납입(+4), 4달 빠르게 납입(-4)하면 결론적으로는 0이 되므로 적금 운용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선납이연 방식으로 하면, 입금하지 않아도 되는 달이 생기기 때문에 그 사이에 내 수중에 있는 돈을 굴릴 수 있다. 주로 저축은행이나 제2금융권에서 많이 한다. 요즘처럼 특판이 쏟아져나오는 시기에는 하나의 적금만 드는 것은 손해를 볼수있다. 납입방식 [6-1-5] 6개월치 한꺼번에 내고, 1개월치 내고, 마지막 5개월치 한꺼번에 내는 방식 이 방식은 목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유리할 것 같은데, 1,20.. 2022. 10. 19.
[저축]이자의 개념, 예금과 적금 이자 돈을 빌린 사람이 빌려준 사람에게 일정 기간 돈을 빌려쓴 것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것 →예금이나 적금을 통해 받는 이자도 우리가 은행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이나 다름 없기 때문에 은행으로부터 대가를 지불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금리 이자율은 갚는 시점, 돈을 빌린 사람의 신용등급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돈을 빌리는 기간이 길어지면 돈을 돌려받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장기대출의 이자율은 높아진다.) 이자율은 다른말로 금리라고도 한다.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발표하면 이에 맞추어 시중 은행들이 각 은행의 금리를 조절한다. 금리는 보통 자금의 공급과 수요에 따라 변화한다. 자금의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금리가 오르고, 금리가 오르면 자금에 대한 수요가 다시 줄어 이자도 줄어든다... 2022. 10. 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