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란? 특정 현상이 일어난 맥락 속 하나의 예
→사례연구는 연구자가 어떤 현상이나 대상집단으로부터 하나의 사례(case)를 골라 그것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연구는 실험집단이 포함된 모집단에 대해 '이런 경우에는 이러이러하다'라는 가능성을 준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사례연구의 예
-1년 간 한 아이의 언어 습득을 연구하는 경우
-관찰, 면담, 가족사 등에서 자료를 얻은 경우
-수업시간 교사의 의사결정 과정을 분석한 경우 등등
*사례연구의 특징(Merriam, 1988)
-귀납적: 구체적 사례로부터 결론을 도출한다.
-특정적: 보편적 특징보다는 해당 케이스가 얼마나 특정적이고 특이한지에 대해 관심이 있다.
-발견적: 가설을 먼저 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케이스가 어떻게 발생했는지를 발견한다.
-기술적: 특정 현상을 관찰하고 묘사한다.
*Van lier(1988)의 연구유형 분류와 사례연구
1)통제: 몇가지 선택된 변인에 주의를 집중하고 이들을 통제하는 연구
-문화적 지식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 한가지 변인-문화적 지식에 초점이 맞추어지며,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피험자들에게 특정 읽기 지문을 주며 통제한다.)
2)측정: 선택의 정도는 강하지만 통제의 정도는 약함
-교사의 질문이 학습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사 질문을 목록화하고 학생들이 반응할 때 목록에 있는 질문에 관한 응답만 집중해 기록한다. 그렇다고 학생의 행동을 통제하진 않는다.
3)질문/행위: 개입의 정도는 강하지만 선택의 정도는 약함
-뭔가를 시도해보고 조금씩 바꾸어보고 참여자들의 의견, 관심사를 묻는 등의 방식으로 문제 영역을 탐구한다.
4)관찰: 선택과 개입이 결여됨
-환경에 개입하지 않은 채 일어나는 일을 그대로 관찰하고 기록함
→사례연구는 4가지 영역 중 3가지를 대표한다. (측정, 질문/행위, 관찰)
*사례연구vs민족지학연구
민족지학 | 사례연구 | |
공통점 | -특정한 장면에서 발생하는 양상을 제공함 -문화에 대한 해석이 필요함 -독자도 연구자가 제시한 결론 도출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야 함 |
|
차이점 | -문화적인 상황과 현상의 해석에 관심 -특정 문화의 완벽한 고찰 |
-민족지학보다 범위가 더 제한적 -문화의 특정한 측면 또는 일의 단면 고찰에 관심 -양적인 데이터와 통계학적 방법 사용 (예:개인의 성취도검사 결과) |
*사례연구의 유형 분류(Stenhouse, 1983)
1) 신민족지학적 사례연구: 단일 사례를 깊이 있게 조사함
2) 평가적 사례연구: 정책, 업무 등을 평가하기 위해 조사함(예: 정책 시행이 제대로 되는지, 현장에 잘 적용이 되는지 평가)
3) 여러 현장사례연구: 하나의 사례를 둘 이상의 장소에서 여러 연구자들이 실시(예: 다문화 예비학교의 사례연구-OO구, △△구)
4) 현장사례연구: 교사의 교수행위나 교실사례 연구
*사례연구의 이점(Adelman)
-실제에 강하다(현장 교사들에게 호소력이 있다).
-하나의 사례를 한 분야로까지 일반화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다양한 관점을 제시해 선택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미래 연구자가 재해석할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해준다.
-여러가지 목적에 즉각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접근성이 높아 다양한 독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례연구의 검증(Yin, 1984)
1)구인타당도: 조사하고자 하는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2)내적타당도: 연구자가 특정 요인에만 집중해서 또 다른 영향을 주는 제 3의 요인을 놓칠 수도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3)외적타당도: 연구 결과가 일반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사례연구가 많은 비판을 받는 부분인데, 사실 사례연구는 표본과 모집단의 비유가 적절하지 않다. 조사연구는 통계적 일반화에 의존하고 있지만, 사례연구는 분석적 일반화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을 잘해서, 그 분석과정을 일반화의 가능성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4)신뢰도: 연구가 재현될 수 있도록, 유사한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과정 잘 제시할 것
*단일사례연구: 사례연구의 특별한 유형.
-단일집단이나 개인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사례연구의 특성을 나타내지만, 관찰할 대상에게 어떤 조치(간섭과 조정)를 취하고 결과를 측정한다는 점에서는 실혐연구의 특성을 나타냄.
-ABAB설계
1)기본단계(A): 기준점 설정을 위한 관찰. 예)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 정도를 측정한다.
2)개입단계(B): 몇 가지 간섭 및 조정.
예)수업 방해행동을 줄이기 위해 칭찬이나 보상과 같은 특정 간섭을 실시한다.
방해행동이 줄어든다. 하지만 칭찬, 보상이 정말 행동이 줄어들게 한 원인인지 확신할 수 없다.
3)기초(A): 간섭 및 조정 철회. 기본단계로 복원.
예)전 단계에서 실시했던 칭찬, 보상과 같은 간섭을 중지한다. 다시 방해행동이 늘어난다.
4)개입(B): 간섭 및 조정 복원 후 다시 행동 관찰.
예)칭찬, 보상과 같은 간섭 다시 실시하여 관찰한다. 방해행동이 줄어든다.
→칭찬, 보상이 방해행동을 줄어들게 하는 원인이 맞는 것 같다.
-단일사례의 문제점(Barlow&Hersen, 1984)
1)윤리적인 반대: ABAB설계의 기초단계의 경우, 문제행동이 일어남에도 실험을 위해서 내버려두는 것이 윤리적으로 맞는가?
2)실제적인 문제: 비슷한 특성을 지닌 다수의 연구대상을 찾기 어렵다.
3)결과의 평균화: 결과는 평균치를 내는데, 평균 이상의 피험자의 행동이 평균 이하의 피험자의 행동으로 상쇄되어 결과가 무의미해질 때도 있다.
4)결과의 일반화 가능성: 집단 연구는 개인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
5)연구대상 간 변이: 피험자 간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어떤 피험자는 향상할 수도, 어떤 피험자는 쇠퇴할 수도 있다.
*사례연구의 장점
→타당성, 신뢰성의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대학원생, 현장연구자들이 수행하기 쉽고 행동 중심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취하는 행동에 관한 실제적 연구)에 적합하며, 특정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전체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참고: 외국어 학습 연구 방법론(David Nun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