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국어교육24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 방법, 취득 후기, 국립국어원 심사과정 #한국어교원자격증이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국어교원이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 일정한 법정 요건을 갖추었는지를 심사하여 자격을 부여하는 제도(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자격증의 종류 1급, 2급, 3급이 있으며 1급이 가장 높은 자격이다.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 과정 1) 학위과정 ①대학에서 한국어교육학과 부전공: 대학에서 한국어교육학과를 부전공으로 하였다면 3급 취득 가능, 취득 후 3년 이상 관련 기관에 근무하며 1200시간의 한국어교육 경력을 쌓았다면 2급으로 승급 ②대학에서 한국어교육학과 주전공 or 석사학위로 학위 취득: 대학에서 한국어교육학과를 주전공으로 하였거나,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면 2급 취득 가능, 취득 후 5년 이상 관련 기관에 근무하며 2000시간의 한국어교육 경력을 쌓았다면 1.. 2023. 11. 25.
글로벌인재포럼2023 후기 서울 워커힐호텔에서 진행된 글로벌인재포럼2023에 참석하였다. 포럼은 11.1-2 양일간 진행되었는데 나는 2일 하루만 참여했다. https://ghrforum.hankyung.com/ 글로벌인재포럼 2023 인재가 미래다. 한국경제신문과 교육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만드는 대한민국 대표 인재포럼. ghrforum.hankyung.com 지하2층부터 1층까지 세션 별로 세 개의 홀에서 연사들의 강연 및 질의응답이 이어지고 있었다. 지하 2층에 등록데스크가 있었고, 사전에 참여신청을 한 사람들에게 발송된 QR코드를 보여주고 입장 목걸이를 받았다. QR을 찍으면 프로그램 내용이 나온다고 했다. 내가 들은 세션은 '인구절벽 시대에 대응하는 글로벌 교육 협력'이었다. 내가 도착했을 때에는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23. 11. 3.
표준한국어교재 2012년 한국어(KSL)교육과정 최초 고시와 함께, 2013년 이를 반영한 표준한국어 교재가 개발 및 배포된다. 당시 배포된 본 교재는 총 6권으로 초등 1,2권 / 중등 1,2권 / 고등 1,2권 이었다. 그러나 2017년 한국어교육과정이 한차례 개정되면서 이에 맞게 표준한국어교재도 개정 출판된다. 1. 버전이 의사소통한국어/학습도구한국어 2가지로 나뉘었다. 2. 교재별 1단계~4단계별로 출판되어 학생 수준에 따라 골라 수업할 수 있게 모듈화시켰다. 그리하여 본 교재가 무려 17종으로 늘어나게 된다. 초등: 의사소통한국어 저학년용, 고학년용 각 1~4단계 8권 / 학습도구한국어 1-2학년용, 3-4학년용, 5-6학년용 3권 =총 11권 중고등: 의사소통한국어 1~4단계 4권 /학습도구한국어 중학교용 .. 2023. 5. 2.
다문화교육정책의 흐름 및 역사(태동기, 도입기, 확장기) 태동기(2006~2007): 다문화교육지원의 필요성을 처음 인식, 다문화교육지원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는 시기 2006 -「다문화가정 자녀 지원을 위한 교육지원 대책 」 처음으로 수립 -정책 대상: 국제결혼가정 자녀 / 외국인근로자 자녀 / 새터민 청소년 으로 분류 -2007 개정 교육과정 통해 교과서 속 '단일민족' 내용 삭제, 범교과 주제로 다문화교육 신설 2007 -정책 대상에서 새터민(북한이탈주민) 빠짐 -주요 정책이 '다문화가정 대상 지원'과 '다문화 이해교육 강화' 두 가지로 정리됨 -중앙다문화교육센터 지정 (당시는 서울대 다문화교육센터에서 그 운영을 지정받음, 현재는 국가평생교육원에서 지정받아 운영 중임) 도입기(2008~2011): 태동기보다 정책사업 구체화, 중도입국 자녀 지원 시작 200.. 2023. 5. 2.
다문화교육의 흐름 다문화교육의 목표: 다문화 학생 교육 지원 + 학교 현장의 수용성 제고 2006년 다양한 형태의 외국인 거주 인구가 증가하면서 종합대책을 마련할 필요를 느껴, 2007년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을 제정함 (*제 12조: 결혼이민자의 자녀에 대한 교육과 지원 등을 포함한 한국사회 정착을 촉진하는 모든 사항 지원) 2008년 다문화가족 구성원이 안정적인 기초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문화가족 지원법을 제정함 (2009년부터 시행됨) 최초의 5개년 계획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이 수립되면서 전국 45개 다문화교육 거점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지원사업 실시 (다문화교육 초기 정책사업은 다문화 가정 학생,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대상으로만 교육을 실시→일반 학생의 다문화감수성이나 문화다양성교육 부진) 2009년 다문화교육 정책의 법.. 2023. 4. 24.
AI 인공지능 통번역기 지니톡고2(Genie Talk Go) 중국인 학생과 대화를 나눌 수가 없어서 빌린 AI 인공지능 통번역기 지니톡고(GenieTalk Go!) 보다 업그레이드된 버전인 지니톡2를 빌렸다. 구입하려면 가격은 30만원 초반대 하는 것 같다. https://shinsegaemall.ssg.com/item/itemView.ssg?itemId=1000526427754&siteNo=6004&salestrNo=6005&ckwhere=s_naver&appPopYn=n&utm_medium=PCS&utm_source=naver&utm_campaign=naver_pcs&NaPm=ct%3Dlf178wkg%7Cci%3Dc07dee6f5a80b4708682384428d69a753fe88da5%7Ctr%3Dsls%7Csn%3D6%7Chk%3D363a878cb28da1b.. 2023. 3. 9.
부처별 한국어교육정책 및 문화다양성교육 부처별 한국어교육정책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교류사업+한국어교육 관련 업무 -한국에 있는 외국인에게 한국어에 관련된 지원 -1990년 문화체육부에서 제정 -산하에 국립국어원 있음 *국립국어원: ①한국어발전과 한국사회 구성원의 한국어학습을 돕고 관련 정책 수립 ②교재 발간-2020년 초등 한국어교재 17종(의사소통편 12종, 학습도구편 5종)을 개발 ③한국어관련 강의 개발 연구 ④한국어 교육교사 자격평가 및 심사(한국어교원자격증) ⑤KSL 교육과정 개발 교육부 -한국사회 구성원 대상으로 교육과 관련된 업무 담당 -2006년부터 매년 다문화교육지원계획 발표- 각 시도교육청이 이를 참고로 구체적 계획수립 여성가족부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들이 한국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 -산하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있음 *다.. 2023. 2. 27.
이주배경청소년의 의미, 외국인비자종류 이주배경청소년(청소년복지지원법 제 18조) 법적용어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른 다문화가족의 청소년과 그 밖에 국내로 이주하여 사회 적응 및 학업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 다문화가족 뿐만 아니라 부모든 자식이든 가족 내에 이주 배경이 있으면 전부 이주배경청소년에 속한다. *다문화가족: 부모 중 한 명의 국적이 한국이어야 한다. 다문화학생 행정용어 :위에서 설명한 이주배경 청소년 중, 학교에 재학중인 이들을 지칭하며 교육부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현 1)국내출생 다문화학생: 국적 한국 2)중도입국 학생: 국적 외국이나, 곧 한국으로 바뀔 예정(한국에 안착할 것이기 때문에) 3)외국인학생: 무국적(부모가 미등록 체류자)이거나, 외국임. 국적 한국으로 바뀔 경우 거의 없음 비자의 종류(다문화가정 중심) 1) E.. 2023. 2. 16.
다문화학생 통계 및 정보 사이트 국내 다문화학생 현황 통계, 정부 차원 다문화 정책자료 및 계획에 대해 알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1. 교육통계 서비스 https://kess.kedi.re.kr/index 교육통계서비스 kess.kedi.re.kr 통합검색창에 '다문화'라고 검색하면 전체 교육통계 중 다문화 부분만 간추린 내용이 정리되어 나온다. 연도별 다문화학생 수, 유형별/학교급별 다문화학생 수 최근 5년치 현황이 나온다. 그 외에도 연도별 학교수, 학생수, 교원 수, 유초등 교육현황 등을 열람할 수 있다. 2.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index/index.do KOSIS 국가통계포털 내가 본 통계표 최근 본 통계표 25개가 저장됩니다. 닫기 kosis.kr 통합검색창에 '다문화'라고 검.. 2023. 1. 29.
한국어교육과정(KSL)의 역사 2012년 3월, 교육부는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다문화학생 공교육 진입 지원을 위한 예비학교 및 다문화코디네이터 운영 ② 한국어 교육과정(KSL) 도입* 및 기초학력 책임 지도 강화 ③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배우는 이중언어 교육, 다문화학생 기초학력 보충 교육 강화 등등 7월, 2012 한국어 교육과정(KSL)를 고시하였다. 2013년 다문화 배경 학생들이 많은 학교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한국어 교육과정이 적용 및 운영되었다. 「표준 한국어」 교재가 개발 배포되고 공교육 현장에 본격적으로 한국어 교육 체제가 도입된다. 2015년 2015개정 교육과정이 새롭게 고시되었다. 그 안에 한국어교육과정 내용도 포함이었으나, 바뀐 내용은 없었다. 「표준 한국어.. 2022. 12. 27.
한국어학급 한국어능력진단보정시스템 한국어학급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다문화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따로 학습시켜주는 한국어학급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한국어학급이란, 한국어와 한국문화 집중교육을 위해 중도입국・외국인 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별학급을 말한다. 담임교사의 추천과 학부모의 동의를 받은 학생은 개인별 맞춤 1:1 한국어 수업에 참여하게 된다. 학생은 주 10시간 내에서 희망하는 시간만큼 수업을 들을 수 있다.(예: 하루 2시간씩 주 3회) 원적학급에서의 정규 일과 중 본인이 배정된 시간에 한국어학급에 방문하여 수업을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한국어능력진단보정시스템이라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활용하여 매달 평가를 치르고, 본인의 수준에 맞는 학습 자료를 제공받아 .. 2022. 12. 26.
다문화학생의 입학 및 교육 *학교 내 다문화가정 학생 유형 국제결혼가정자녀 외국인가정 자녀 국내출생 중도입국 -외국인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헌법 제 6조 2항 및 UN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에 따라 한국아동과 동일하게 교육권을 가진다. -미등록 외국인 자녀의 경우에도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 제19조 및 제 75조에 따라 거주사실 확인만으로도 초등학교 입학이 가능하다.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 배우자(결혼 이민자) 사이에서 출생한 자녀 - 국적법 제2조 1항에 따라 국내 출생과 동시에 한국 국민이 되므로 헌법 제31조에 따른 교육권을 보장받는다. -결혼이민자가 한국인과 재혼하면서 본국에서 데려온 자녀 -국제결혼부부 중 외국인의 본국에서 성장하다가 청소년기에 입국한 자녀 -국내 입국 시에는 외국국적이지만 특별귀화를 통해 한국국적으로.. 2022. 9. 21.
다문화학생 쓰기교육(초등학교 1~2학년) 1~2학년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쓰기 수업 모형을 짠다고 했을 때 어떤 것을 고려하여 교수요목을 선정하면 좋을까?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2015개정 교육과정 국어의 쓰기영역 성취기준과 2017개정 한국어교육과정 쓰기영역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항목을 참고해보기로 한다. 2015 국어 교육과정 초등학교 1~2학년 쓰기 영역 성취기준은 한글을 깨치고 학습자가 학교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생각이나 학습 결과를 문자로 표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쓰기 능력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두어 설정하였다. 글자를 바르게 쓰고, 자신의 생각을 문장이나 짧은 글로 쓰면서 쓰기에 흥미를 갖고 부담 없이 쓰는 태도를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둔다. [2국03-01]글자를 바르게 쓴다. [2국03-02]자신의 생각을 문장으로 표현한다. [2국.. 2022. 8. 21.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다문화정책학교 2012년, 교육부의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다문화 예비학교, 다문화코디네이터 등 운영 -한국어 교육과정(KSL)도입 ①교육대상: '다문화 배경 학생': 중도입국, 외국인가정, 탈북가정 자녀 등 모두 포함 ②생활한국어+학습한국어(학령기 학생들이기 때문에 학습한국어 필요) ③국립국어원 주관으로 표준한국어교재 제작 ↓ 2017년, 한국어교육과정 개정 -내용체계 자체는 2012년과 달라진 것 없음 ①교육대상:'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이 없거나 부족한 학생' ②학습한국어를 학습도구 한국어+교과적응 한국어로 세분화 -학습도구 한국어: 생활한국어와 학습한국어의 수준차이가 심해서 그 중간에 배우는 단계로 넣음 -교과적응 한국어: 고급 학습자대상, 교과에서 사용되는 단어(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초급학.. 2022. 8. 9.
다문화 가정(다문화가족)의 정의 다문화가족 지원법 제 2조 “다문화가족”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가족을 말한다. 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 제3호의 결혼이민자와 「국적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나. 「국적법」 제3조 및 제4조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와 같은 법 제2조부터 제4조까지의 규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 제3호: "결혼이민자"란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한 적이 있거나 혼인관계에 있는 재한외국인을 말한다. *「국적법」 제2조~제4조 (국적 취득의 유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 취득)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출생과 동시에 대한민국 국적(國籍)을 취득한다. .. 2022. 7.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