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육/연구방법

내성적연구

by 당근밭농부 2022. 6. 29.
728x90

*내성(introspection)적 연구: 생각, 감정, 추론과정 등 정신적 상태가 우리의 행동을 어떻게 결정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를 관찰하고 이에 대해 성찰하는 과정

 

*초기의 내성적 연구

1)자유연상과제: 피험자들에게 자극 단어를 주고 제일 먼저 생각한 단어를 말하게 하는 방법

2)소리내어 생각하기: 과제를 주고 피험자에게 과제를 해결하면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사고 과정을 소리내어 말하게 하는 방법 

3)철자변형과제:배열이 엉망인 단어를 피험자들에게 제시하고 배열을 바르게 해서 올바른 단어를 만드는 과정을 말하게 하는 방법 (예: HPEHPA을 주고, HAPPEN임을 찾아가는 과정을 말하게 함)

4)문장회상: 해석하기 어렵거나 모호한 문장을 주고 이해했는지 빠른 시간 내에 대답하게 하는 방법

 

-한계점:말로 표현하려는 피험자의 노력으로 인해 인지작용이 왜곡되지는 않나? 정말 인지작용을 정확하게 반영하나?

-의의: 어쨌거나, 언어교사들에게 다른 방법으로 수집할 수 없는 자료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기 연구:언어학습(학습자입장)과 교수경험(교수자입장)에 대한 1인칭보고로, 규칙적이고 솔직하게 기록한 다음 그 내용에서 반복되는 패턴이나 주요한 사건을 찾아 분석하는 기법(Bailey, 1990)

-5단계 절차

1)account for: 일지를 쓰는 사람이 학습과정을 설명한다.

2)revised: 초기자료가 공개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다듬어진다.

3)identified: 일기 내용에서 패턴과 중요한 사건을 찾아낸다.

4)interpreted: 언어학습에 중요해보이는 요인들을 해석한다.

5)discussed: 토론한다.

 

-의의

1)언어 발달의 사회적/심리학적인 측면에 관한 지식을 제공해준다.

2)정의적인 요인(경쟁심, 불안, 교사에 대한 불만 등)이 학습과정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3)심리측정학적 연구를 위한 사전 준비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비판

1)외적 타당성에 대한 비판(단일 피험자에게서 도출된 결론을 어떻게 다른 학습자에게 적용할 수 있나..)

2)일기를 기록할 때 당시 사건을 얼마나 정말 사실적으로 반영이 되어 있는가?

 

*회상(retrospection): 사건이 일어난 후에 시간이 지나서 그 당시 사고과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비판

1)사건과 기록 사이에 간격이 있어서 자료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사건 후 최대한 짧은 시간 내 자료수집하기

2)피험자들이 실험이 끝나고 나중에 회상하며 말할 것이란 걸 미리 안다면 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래서 과제 완수할 때까지 회상해야함을 최대한 알려주지 않는 것이 좋음

 

-필요성(그럼에도 회상방법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1)수업 중에 일어나는 의사결정은 그 자리에서 바로 이유를 물어볼 수 없음

2)실제 시험 상황에서 시험에 임하는 학습자의 수행도 그 자리에서 인터뷰할 수 없음

→즉 피험자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료 수집이 불가능한 경우 회상기법을 사용한다.

 

-생각해볼 문제

1)의사결정 중 어느정도가 미리 고려한 것이고 어느 정도가 즉각적인가?

2)즉각적인 반응의 근거가 되는 언어학습 교수이론은?

3)교사가 결정을 내릴 때 초점을 맞추는 것은? (학습자의 특성, 학습자의 행동 등)

4)결정의 유형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는? (교사의 교육경험, 교사의 전문적 자격 등)

5)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언어자료의 특성은? 제공되는 방식은? 교육적 효과는?

 

*내성적 방법을 사용한 연구의 예

-교실 상호작용이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일지 연구를 중심으로(스티븐 리비어, 2003)

 

참고: 외국어 학습 연구 방법론(David Nunan)

728x90

'한국어교육 > 연구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인기법  (0) 2022.06.29
교실관찰연구  (0) 2022.06.28
사례연구  (0) 2022.06.28
민족지학  (0) 2022.06.27
연구방법 개요 및 실험연구  (0) 2022.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