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원이야기

논문 쓰는 방법, 논문작성법

by 당근밭농부 2023. 1. 5.
728x90

논문의 구성

.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보통 필요성에는 두 가지가 있다. 사회에 이런저런 현상들이 있어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①기존에 이런 연구가 없거나 ②기존에 이런 연구가 있었지만 후속 연구가 없다.
->그래서 이런 연구를 하고자 한다. (결론)

1.2 연구문제
연구의 목적을 구체화하는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보통 '~는 무엇인가', '~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와 같은 질문형으로 제시한다.
연구문제로 나온 문항들은 연구결과에 답으로 나와야 한다.
예를 들어 연구문제가 3개가 제시되었다면, 3개 문제의 대한 답 3개가 연구 결과의 각 절로 제시된다.

1.3 용어정의,1.4 연구의 제한점 도 쓸 수 있기는 한데 필수사항은 아니다.
용어 정의 같은 경우는 연구에 나오는 개념을 처음 쓰는 순간에 정의를 정확히 내려주어야 하는 것이고,
연구의 제한점은 요즘에는 서론이 아니라 마지막 장에 후속제안과 함께 나오는 경우가 많다.
2. 이론적 배경 논문을 만들어가기까지 과정에서 이론적인 기초가 되는 내용을 넣는다.
본 연구를 뒷받침할 이론을 쓰는 것이므로 보통 선행연구를 많이 활용한다.
이 부분에는 단순 기재가 아니라 반드시 연구자의 관점(선행 연구의 한계, 연구가 가지는 의의)이 들어가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질 의의를 서술한다. 2~3개의 소제목으로 절을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대상
3.3 연구도구(설문, 인터뷰 가이드라인 등)
3.4 연구절차
3.5 자료분석방법
4. 연구결과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서술한다.
*결과와 결론의 차이
결과는 발견한 사실에 대한 객관적, 사실적 기술이다. '남자와 여자 사이에 ~~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은 결과를 일반화된 진술문으로 바꾸어주는 것이다. '남자와 여자는 차이가 있다.'
5. 결론 및 제언 6.1 요약
연구의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한다. 단, 내용이 없는 요약이 되면 안된다.
'1장에서는 필요성 및 목적을 알아보았다.' (X)
'1장에서는~~현상의 증가에 따라 ~의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됨을 알아보았다.'(O)
6.2 결론
결과를 반복하지 말고 결과로부터 도출된 결론을 써야 된다.
6.3 제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을 중심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한다.

논문에 쓰이는 표현
①하지만→ 그러나, 그래서→따라서, ~어서→~하므로, ~겠다->~고자 한다. ~기로 한다, 필자/연구자/나는-> 본 연구에서는, 이뤄지다, 맞춰→이루어지다, 맞추어
②되어지다(이중피동표현) 쓰지 말기
③짱구는 사과를, 철수는 바나나를 좋아한다 (X) → 짱구는 사과를 좋아한다. 철수는 바나나를 좋아한다.(O)
⑥~로서와 로써: 로서는 자격이고, 로써는 수단이다. 선생님으로서 널 가르친다. 벌로써 백성을 다스린다.

논문 인용하는 방법
논문은 고유한 지적 산물이어야 된다. 하지만 쓰는 과정에서 당연히 다른 논문을 참고할 수 밖에 없다. 참고한 자료는 출처와 쪽수만 정확히 표기해주면 된다.

논문을 전체 인용하는 경우 홍길동(2003)은 ~임을 지적하였다.
김콩쥐(2003)의 연구에서는 ~를제시하고 있다.
일부 인용, 발췌하는 경우
(문장 하나를 인용하더라도 페이지를 정확히 기재해야 한다.)
홍길동(2003:25-27)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김콩쥐(2003:25)는 -등을 제시하였다.
여러개를 인용하는 경우 괄호 안에 인용 논문 연구자들을 세미콜론(;)으로 구분해주면 되는데 순서는 논문의 발행 연도, 그 다음으로 연구자 이름 가나다순을 고려한다.
~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홍길동,2000; 김팥쥐,2001; 한콩쥐,2002)


참고문헌 제시하는 방법
①참고문헌의 순서는 국문, 영문, 기타 참고문헌이다.
②연구자명은 가나다순, 영문은 알파벳 순으로 제시한다.
③한 연구자의 문헌이 여러개면 출판년도 순으로 제시한다.
④한 연구자가 한 해에 여러개 낸 거면 처음 연구물은 이름, 제목 다 쓰고 그 다음엔 이름은 밑줄로 남겨놓고 a,b 수식을 붙인다. ↓
홍길동(2009a), 논문1 제목
(2009b), 논문2 제목
⑤연구자가 여러명이면 본문에는 '홍길동 외(2010)' 로 제시하되 참고문헌 페이지에는 연구자명을 빠짐없이 다 적어야된다.
⑥학술지의 경우에는 몇권 몇호 몇쪽인지까지 적어야 한다.

각주 다는 방법
대학원마다 각주 형식이 다른데, 내가 다니는 대학원은 부연설명을 문장식으로 적어야 한다고 한다.
1)~라는 결과가 있다.(홍길동, 2003:65),
1)김콩쥐(2003:65)는 ~~라고 지적하고 있다.

논문 숫자 표기
장(1)→절(1.1)→항목(1.1.1)
장이 바뀌면 무조건 새 장으로 시작해야 된다.
표 제목은 표 위에, 그림이나 도표 제목은 그림 아래에 제시하고, 그림이나 표는 그림과 표와 관련된 본문 밑에 제시해야 된다. (그림 먼저 제시X)

출처: 외국어 학습 연구 방법론(nunan),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비교과역량프로그램 강의 논문작성법 (강승혜교수님)를 듣고 정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