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절의 종류
*전문인용: 타인의 글을 한 문단 이상 가져와서 그대로 인용. 한 문단을 통째로 가져온 뒤에 맨 끝 문장에만 각주를 달고 출처를 밝힌다. 저자는 출처를 밝혔으므로 표절이 아니다라고 주장할 수 있겠지만 이는 표절이다. 왜냐하면, 독자 입장에서는 출처표기를 보고, '아 이 문단에서 일부만을 인용했겠구나'라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해결: 한 문단 이상 가져와도 상관없기는 하지만, 문단 내에서 타인의 글과 자신의 글에 대한 정확한 구분을 해야 한다.
예) ~~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라고 쓰고 줄바꿔서 인용한 내용 사용하기
*포괄적 인용: 인용한 문구 각각에 대해 인용 표시를 하지 않고, 뭉뚱그려서 포괄적으로 출처표시를 하는 것을 말한다. 인용 후 각주를 달아서 '이 글은 000의 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다'라고 표기해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 역시 독자 입장에서는 인용된 글과 저자의 글을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표절이다.
*부정확한 출처표기:
①A의 논문 속 아이디어가 맘에 들어서 사용하려고 하는데, A 역시 B의 논문에서 인용한 것일 경우 그냥 그대로 A 출처로 표기하면 안된다.
해결: 가장 좋은 것은 원문인 B의 논문을 찾아 읽는 것이지만, 불가능할 때에는 A(1992, B(1990)에서 재인용)이 주장한 것처럼~ 이런 식으로 쓰면 된다.
②부정확한 출처표기: 타 논문 주장을 가져오면서 각주를 통한 출처 표시를 하지 않고 참고문헌에만 은근슬쩍 기록하는 경우를 말한다.
해결: 각주 꼬박꼬박 잘 달고 출처표기 분명히 하기
* 말바꿔쓰기 표절: 동의한다->공감한다, 이런 식으로 비슷한 말로 바꾸어 쓰는 표절. 문장이 다르기 때문에 표절검사기에 잘 걸리지도 않는다.
■출처표시의 중요성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독자도 출처를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저작물 자유로운 배포가 가능한 CCL도, 사후 50년 이후엔 공유영역의 정보로 남는 저작권도 논문의 경우에는 출처표기를 하지 않으면 무조건 표절이다.
■인용하는 방법
1. 요약
2. 말바꿔쓰기
1)원문의 문법적 구조 바꾸기
2)쉬운 단어를 동의어로 바꾸기
3. 직접 인용
문두에 저자 이름 나타나지 않는 경우 | 문장 끝에 괄호 인용 표시 ~~다(홍길동,2012, p.200). |
문두에 저자 이름 나타나는 경우 | 홍길동(2012)은 ~~라고 했다. 말을 바꿔쓸 경우에는 쪽수 포함할 필요 없다. 직접 인용 할 때만 필수적으로 쪽수를 포함한다. |
인용문이 40자 이상, 4줄 이상 | 다음 줄에 들여쓰기 하여 인용 홍길동(2012)은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했다. ~~~. |
■출처표시방식
-참고문헌 순서: 저자의 가나다순
-웹페이지 인용: 작성자, "웹페이지 제목", 웹사이트명, 발행날짜 및 URL
ex. 교육부, "다문화학생 맞춤형 한국어 교육으로 의사소통 능력 키워요!", 교육부 홈페이지, 2017.9.29)
■표절 검사기 종류
카피킬러
카피킬러라이트
표절검사의 기준! 무료표절검사, 논문표절, 자소서표절, 레포트표절 검사 서비스와 글쓰기 핵심도구를 제공합니다.
www.copykiller.com
턴잇인(turn-it-in)
독창적이고 좋은 글을 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Turnitin
Turnitin은 연구윤리 확립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글쓰기 향상을 지원하고 독창적 사고를 증진하며 평가 과정을 효율적으로 변화시킵니다.
www.turnitin.com
출처: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온라인수강과목 연구윤리 3차시 중 일부
'대학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합격부터 졸업까지(1) 자소서, 면접후기 (1) | 2023.11.11 |
---|---|
기프티콘 대량발송, 설문조사 사례 기프티콘 발송하기 (0) | 2023.03.25 |
논문 통계 방법(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0) | 2023.01.19 |
양적연구방법 (0) | 2023.01.06 |
논문 쓰는 방법, 논문작성법 (0) | 2023.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