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기록/경제

선납이연

by 당근밭농부 2022. 10. 19.
728x90

선납이연이란?
선납: 먼저 낸다, 이연: 나중에 낸다
→적금 가입 시 몇달은 한꺼번에 내고, 몇달은 나중에 내면서 정직하게 한달에 한번씩 입금하는 원래의 방식보다 이자를 더 챙길 수 있는 방법
4달 늦게 납입(+4), 4달 빠르게 납입(-4)하면 결론적으로는 0이 되므로 적금 운용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선납이연 방식으로 하면, 입금하지 않아도 되는 달이 생기기 때문에 그 사이에 내 수중에 있는 돈을 굴릴 수 있다.
주로 저축은행이나 제2금융권에서 많이 한다. 요즘처럼 특판이 쏟아져나오는 시기에는 하나의 적금만 드는 것은 손해를 볼수있다.

납입방식
[6-1-5] 6개월치 한꺼번에 내고, 1개월치 내고, 마지막 5개월치 한꺼번에 내는 방식
이 방식은 목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유리할 것 같은데,
1,200만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매달 100만원씩 넣는 적금에 가입한다면
우선 첫달, 적금에 6개월치인 600만원을 넣어버리고
동시에 남은 600만원을 6개월 단기예금에 넣는다.
그리고 예금 만기가 되었을 때 예금이자는 따로 챙기고, 원금을 차례대로 적금에 붓는다.
그러면 적금 만기가 되었을 때 1200만원에 따른 이자가 생긴다.
결론적으로 이자를 두 번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1-6-5], [1-11] 등이 있다.

이자가 높은 곳은 어디?
예금, 적금 이자가 높은 곳을 한눈에 알아보기 위해서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예금상품금리비교]에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deposit_3.php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선납이연이 가능한 곳
선납이연은 보통 저축은행과 같은 제2금융권*에서 가능하다.

금융권 구분은 정식용어는 아니고 금융업계 종사자 및 언론 등이 편의상 부르던 말이 대중에게 알려져 지금처럼 흔히 쓰이게 된 것이다.

1금융권: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금융기업이다. 흔히 아는 시중은행들 ex.신한은행, 하나은행 등과 같은 예금은행(예금으로 받은 자금들을 단기대출로 운용함.)을 말한다.

2금융권: 1금융권을 제외한 모든 금융기관이다. (은행법에 적용되지 않고 업종별로 적용되는 법이 다름.) ex. 보험사, 증권사, 저축은행 등. 예금은행이 아니어서 중개기능을 주로 한다. 1금융권이 제공하지 못하는 전문적인 금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선납이연 시 주의점
선납이연 시 가입 약정에 ‘거래처가 저축금을 약정일보다 늦게 입금하였을 때에는 총지연일수에서 총선납일수를 뺀 순지연일수에 대해 계약일 당시 영업점에 게시한 입금지연이율로 셈한 금액을 계약금액에서 빼거나 순지연일수를 계약월수로 나눈 월평균 지연일수만큼 만기일을 늦출 수 있습니다'라는 항목이 있어야 한다.

일수가 딱 맞아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날짜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서는 선납이연계산기를 꼭 활용하여 제때 납부하고 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https://snowman-calc.netlify.app/

⛄스노맨 선납이연 날짜 계산기

3년짜리 적금도 무료로 날짜 계산 가능한 스노맨 선납이연 날짜 계산기

snowman-calc.netlify.app

728x90

'개인기록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담보대출 용어 정리(LTV, DTI, DSR)  (0) 2023.10.25
부동산 용어: 건폐율과 용적률  (0) 2023.10.23
주식 공부  (2) 2023.09.11
월세계약 방법  (0) 2023.05.29
[저축]이자의 개념, 예금과 적금  (0)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