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기록/경제

부동산 용어: 건폐율과 용적률

by 당근밭농부 2023. 10. 23.
728x90

1. 건폐율: 건축면적의 대지면적에 대한 비율
*대지면적이 100제곱미터, 그 위에 세워진 건축물 면적이 80제곱미터라면 건폐율은 80% 
*해당 건축물의 1층 면적만 해당한다. 
*건축물이 2개라면 2개의 면적을 합친 것이 건축 면적이 된다. 
*해당 지역의 개발밀도를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 
* 주거전용지역의 건폐율은 50% 미만이어야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건폐율을 보고 알 수 있는 것: 이 땅에 건물이 얼마나 많이 빽빽하게 지어졌나? 더 많이 지을 수 있겠구나/ 없겠구나
 
2. 용적률: 대지 면적에 대한 건물 연면적(건축물의 바닥면적 다 합친 면적)의 비율

* 대지면적이 100제곱미터, 그 위에 50제곱미터 면적의 3층짜리 건물이 있다면 용적률은 150%
* 용적률이 크면 건물을 높이 지었다는 뜻(층수가 많음)
* 용적률이 클수록 가격이 높은 편
* 주거전용지역의 용적률은 100% 미만이어야 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용적률을 보고 알 수 있는 것: 건물 얼마나 높이 지었나?

*건물 재건축의 사업성이 높은 경우
(1)기존 용적률이 작은 경우
:재건축 시 더 높이 지어 신축세대를 많이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입이 많아져 기존 세대들의 추가분담금이 적어진다.
용적률이 이미 너무 높은 곳은 재건축 사업성이 떨어져 재건축보다는 리모델링을 추진한다.
 
(2)용적률을 상한 적용받게 되는 경우
:장기전세주택 설립 등 인센티브 적용으로 용적률을 상향시켜주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사업성이 늘어난다.
반대로 자연경관지구 구역 설정으로 인해 용적률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결론: 건폐율이 낮을 수록, 용적률은 높을 수록 좋으며, 재건축을 염두해두고 있다면 용적률이 낮은 것이 좋다. 

728x90

'개인기록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초 용어, 재무제표 보는법  (0) 2023.11.18
주택담보대출 용어 정리(LTV, DTI, DSR)  (0) 2023.10.25
주식 공부  (2) 2023.09.11
월세계약 방법  (0) 2023.05.29
선납이연  (0) 202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