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교육/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과 교사교육

by 당근밭농부 2022. 7. 21.
728x90

*교사의 4가지 지식(뱅크스)

1. 다문화교육 패러다임에 대한 지식

-패러다임: 인간의 행동이나 현상을 설명하는 사고와 개념

1)문화적 박탈 패러다임: 소수 집단의 학업 실패가 학생 스스로에게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는 입장. 이러한 결손은 주류집단에서 보충해줘야 한다!

2)문화적 차이 패러다임: 애들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소수집단-주류 집단 문화가 다르므로 여기에 따라 학교가 교육해주어야 한다!

 

2. 다문화교육의 주요 개념에 대한 지식

-문화 간 차이는 가치, 시념, 상징 등의 차이이므로 맞고 틀림이 없다. 문화의 역동성과 복잡성에 주목하여 문화에 대한 편견을 가지면 안된다. 

 

3. 주요 민족 집단에 대한 역사적, 문화적 지식

-해당 민족이 공유하는 문화에 관련한 지식

 

4. 학생에게 적용할 교수법적 기능

-학생의 수업 참여를 늘리고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지식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

-교사의 편견은 학습자에게 그대로 전수된다. 교사의 간문화적 능력, 학부모와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지식, 학교 행정에 대한 열정이 필요하다. 

 

*다문화적 태도발달이론(뱅크스)

1. 문화적 심리적 속박 단계 문화적 사대주의, 자신의 문화에 대해 부정적이며 낮은 자존감으로 타문화의 접촉을 피한다.
2. 문화적 정박 단계 자민족 중심주의, 내 문화가 제일 우월하다!
3. 문화적 정체성 명료화 단계 문화 상대주의, 자신의 문화의 긍정적, 부정적인 점을 수용하고 이해한다. 
4. 이중 문화주의 단계 문화 상대주의, 자신의 문화 뿐만 아니라 타문화에도 적응이 가능하다. 
5. 다문화주의 및 반성적 국가주의 단계 문화 상대주의, 국가 내의 여러 문화를 인정한다. 
6. 세계주의 및 글로벌 유능성 단계 문화 상대주의, 한 국가 뿐만 아니라 세계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내면화한다.

*간문화적 감수성발달 단계(베넷)

1. 문화 차이 부정 주류가 무조건 우월하다.
2. 문화 차이 방어 문화 간 차이를 인식하긴 하나 주류가 우월하다고 생각하여 주류를 지키려 한다.
3. 문화 차이 최소화
4. 문화 차이 수용 다른 문화의 관점에서도 생각하기 시작
5. 문화 차이 적응
6. 문화 차이 통합 다른 문화와 함께 공존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1. 클라크의 4단계 교사교육

1)인종적, 문화적 정체성 발달 단계: 내가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사회화 과정을 거쳤는지 반성한다. 

2)문화적 지식 습득 단계: 다문화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는 단계

3)다문화 교수-학습 기능 습득 단계: 학습자에 맞는 전략과 실질적 교수법을 습득하는 단계

4)다문화적 상황에 적응 단계: 배운 지식을 직접 적용하는 단계

 

2. 게이의 교사교육 4원칙

1)인종,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사회과학, 인문학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지식 쌓기)

2)수업 전략과 학급 운영방법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교수법 익히기)

3)다문화적 수업 전략 활용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4)학교 실습을 통해 상호작용 겨험을 가져야 한다. (이론과 현장은 분리될 수 없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