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다문화정책학교2

한국어 교육과정의 변화와 다문화정책학교 2012년, 교육부의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다문화 예비학교, 다문화코디네이터 등 운영 -한국어 교육과정(KSL)도입 ①교육대상: '다문화 배경 학생': 중도입국, 외국인가정, 탈북가정 자녀 등 모두 포함 ②생활한국어+학습한국어(학령기 학생들이기 때문에 학습한국어 필요) ③국립국어원 주관으로 표준한국어교재 제작 ↓ 2017년, 한국어교육과정 개정 -내용체계 자체는 2012년과 달라진 것 없음 ①교육대상:'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이 없거나 부족한 학생' ②학습한국어를 학습도구 한국어+교과적응 한국어로 세분화 -학습도구 한국어: 생활한국어와 학습한국어의 수준차이가 심해서 그 중간에 배우는 단계로 넣음 -교과적응 한국어: 고급 학습자대상, 교과에서 사용되는 단어(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초급학.. 2022. 8. 9.
다문화정책학교와 한국어학급 * 다문화정책학교 교육부에서는 2006년 다문화가정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처음 수립한 이래 한국어교육과정, 다문화 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다문화교육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그중에서도 다문화정책학교는 기존에 있던 다문화중점학교, 다문화예비학교를 ‘다문화교육 정책학교’로 통합하여 2019년부터 운영하기 시작한 정책이다. 해당 학교에서는 일반 교과수업에 다문화교육과 세계 시민교육 요소를 반영하고, 프로젝트 수업 형태로 다문화 교육을 진행한다. 또한 한국어 교육 수요가 많은 학교에는 한국어 학급을 설치하여 교재비, 운영비 등을 지원한다. * 한국어학급 한국어학급이란, 한국어와 한국문화 집중교육을 위해 중도입국・외국인 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별학급을 말한다. 중도.. 2022. 7. 8.
728x90